상세 컨텐츠

본문 제목

주식 매도 후 예수금 주식 팔았을 때, 예수금 증거금 미수금 대용금

경제

by 포리3 2020. 7. 8. 18:00

본문

728x90
반응형

예수금이란?

 

처음 주식을 거래해보면 내가 판 돈이 대체 어디가 있는 건지 잔고가 얼마나 남은 건지 한 번에 알기 어렵다.

어렵게 생각할 필요 없다. '예수금 = 잔고'로 생각하면 된다.

 

주식을 팔았을 때 바로 예수금으로 돈이 입금되는 것이 아니다. 매도일을 포함해 3영업일이 걸린다.

매도일 + 2영업일에 예수금으로 들어온다는 것.

 

매수금 D+2, D+1은 내일모레, 내일 돈이 계좌로 들어온다는 뜻이다. 즉 보유 예정인 것

 

영업일은 주식을 사고 팔 수 있는 날로 토요일, 일요일, 공휴일 등은 포함하지 않는다.

 

즉, 월요일에 주식 매도 시 -> 수요일에 계좌 입금

일요일에 주식 매도 시 -> 화요일에 계좌 입금

 

입금 되는 시간은 증권사마다 다르지만 보통 자정에서 장이 열리기 전에는 들어온다고 보면 됩니다.

NH 나무 어플

 

"증거금"

 

주식 구매 시 보증금이라고 생각하며 됩니다. 종목마다 증거금의 비율이 정해져 있습니다.

주식은 3 영업일 후에 체결되는 일종의 후불제로 예를 들어 주가 100만 원에 증거금이 40%인 종목을 구매하려고 할 때 계좌에 40만 원만 있어도 60만 원은 미수로 살 수 있습니다. 이때 60만 원은 미수금으로 3 영업일 내에 계좌에 있으면 거래가 체결됩니다.

 

"미수금"

 

위에 설명한 것과 같이 증거금을 제외한 나머지 구매 금액이 미수금이 됩니다.

이러한 경우 예수금D+2, D+1이 마이너스로 보이게 됩니다.

미수금이 발생한 경우 증권사가 임의로 매도하는 반대매매를 하거나 계좌가 동결될 수 있습니다.

현금으로만 투자를 하게 된다면 미수금이라든지 증거금은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.

 

"대용금"

 

주식, 채권 등 투자하고 있는 상품을 평가한 금액을 말합니다. 주식을 주문할 때 대용금을 증거금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. 대용금은 통상 전일 종가의 70~80% 선입니다. 주가가 100만원이라면 70만원 정도는 대용금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.

 

 


 

 

↓주식 거래 시간, 동시호가 설명

 

주식시간 시간 거래시간 동시호가 시간외 거래 설명

주식은 아무 때나 사고팔고 할 수 있는 게 아닙니다. 주식시장은 정해진 거래 시간이 있고 그 시간에만 매수, 매도를 할 수 있습니다. 요즘 주식을 해보고 싶으신 분들이 많은데 이런 기본적인 ��

fory3.tistory.com

 

 

 

 

728x90
반응형

관련글 더보기

댓글 영역