아파트를 구입하거나 사업을 하기 위해 대출이 필요할 때가 있습니다. 반드시 알아야 하지만 헷갈리는 게 이런 용어입니다. 나날이 대출 규제가 강화되고 있는 요즘 같은 때 뉴스를 틀어보면 LTV가 80%니 뭐니 하면서 나오는데 도대체 무슨 소린가 싶습니다. 아파트 모집 공고를 봐도 마찬가지로 투기과열지구로 지정되어 담보인정비율(LTV), 총부채상환비율(DTI) 등 대출이 제한이 적용된다고 나옵니다.
주택을 구매할 때 주택의 가격과 상환능력을 고려하여 주택담보 대출의 금액을 제한합니다. 여기서 사용되는 지수가 바로 저 용어들입니다. 자주 들어 익숙한 듯 낯선 이 세트로 붙어 다니는 LTV DTI DSR에 대해 쉽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주택의 담보가치에 따른 대출 한도로 시세 대비 몇 프로까지 대출이 가능한 지를 말합니다.
LTV = 주택 담보 대출 한도 / 주택 가격
즉, 주택 담보 대출 한도 = 주택 가격 * LTV라는 겁니다.
EX) 2억짜리 집의 LTV가 70%라면?
= 2억(집값) * 0.7(LTV) = 1억 4천(대출한도)
LTV에 따라 은행이 대출을 얼마나 내줄지가 결정!
연 총 소득에서 매년 갚아야 하는 원금 및 이자가 차지하는 비율을 말합니다.
DTI = 주담대 연간 원리금 상환액 + 기타 대출의 연간 이자 상환액 / 연간 소득
즉, 연 소득 5000만 원 이고 DTI가 50%라면 매년 갚아야 할 돈이 연 2500만 원을 넘지 않도록 규제하는 것입니다.
EX)
A = 연봉 5000만원 / 연간 주담대 원금 1000만 원/ 개인 대출 연간 원금 500만 원, 개인 대출 이자 연간 20만 원 일 때
DTI = 1000 + 20 / 5000만원 = 20.4%
이 수치가 낮을수록 빛 상환 능력이 좋다고 본다!
전체 대출에 대한 원리금 상환액을 연 소득으로 나눈 비율
DTI와 다른 점은 기타 대출의 연간 원금 상환액도 포함이라는 것으로 보다 까다로운 기준이다.
2차 전지 밸류체인 (0) | 2020.09.16 |
---|---|
수도권 LTV DTI 비율 (0) | 2020.08.16 |
[주린일기] 우리가 주식을 해야 하는 이유 (0) | 2020.07.21 |
주식 매도 후 예수금 주식 팔았을 때, 예수금 증거금 미수금 대용금 (0) | 2020.07.08 |
전용면적 공급면적 공용면적 (0) | 2020.07.06 |
전용 면적 아파트 구 평수 계산 59 74 84 몇 평? (3) | 2020.07.03 |
댓글 영역